반응형 전체 글1011 원신 3.0 - 이벤트 및 캐릭터 기원, 단조 무기와 업데이트 일정등 오늘 유튜브에서 진행한, 원신 3.0 특별방송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 먼저 특별 방송에서 공개된 리딤 코드이므로 아래 사이트에서 접근하여 적용하도록 하자. 원신——모험이 가득한 신비한 세계로 떠나자 (hoyoverse.com) 원신——모험이 가득한 신비한 세계로 떠나자 genshin.hoyoverse.com 8ancktwyvrd5 ea7vktfhu9vr kt7dksfgcrwd 3.0에서도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는데 가장 먼저 진행되는 이벤트는 바로 동심 조각이다. 동심 조각을 통해 바로 콜레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풀 원소 캐릭터를 3.0에 맞춰서 사용해 볼 수 있도록 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콜레이는 기존에 캐릭터리뷰를 했었지만, 4성 딜러로 나쁘지 않을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된 만큼 .. 2022. 8. 13. nodeJS - axios fetch 활용 nodeJS의 HTTP와 같은 네트워크 요청을 진행할때 대표적인 모듈인 axios와 fetch에 대해서 핵심적인 부분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fetch 와 axios 소개 fetch는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내장하고 있기때문에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최신 기능들이 여기에 먼저 들어간다. 자세한 기능은 Mozila 개발자 포럼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Fetch 사용하기 - Web API | MDN (mozilla.org) axios는 fetch보다 사용등에 개발 편의성을 고려해 만들어진 패키지이다. axios는 fetch보다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XSRF 보호 data 속성으로 object를 포함 status가 200와 sta.. 2022. 8. 13. 원신 3.0 - 콜레이 파티 성유물 조합 마지막 업데이트 221002 아직 2.8인 상황에서 콜레이 정보를 미리 보는 것은 앞으로를 대비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다. 풀 원소 5성 캐릭터인 티그나리를 제외한다면, 초반에 즐길 수 있는 풀 속성으로 여행자와 콜레이가 주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확인된 정보를 볼 때에는 콜레이는 딜러로 설정되어 있으며, 엠버 친구 역활로 보여진다. 하지만 엠버보다는 확실히 제역활을 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일반 공격 - 기원 사예 일반 공격으로 4번의 공격을 한다. 강공격시 조준 사격을 진행하며 공중에서 낙하 공격시 다른 화살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화살비를 쏜다. 10레벨 15레벨 일반 공격 1/2/3/4 단계 86.19/84.32/106.93/134.47% 98.36/96.22/122.03/153.45% 조준 .. 2022. 8. 8. Mac - VSCode M1 한글 씹힘, 입력 문제 해결 MacBook을 보통 개발도구로 사용하다보니 VSCode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때 한글 씹힘이 심하게 발생하여 도저히 그냥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였다. 여기에 이를 해결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대략 시도해본 방법은 총 2가지로 필자는 1. 맞춤법 검사 해제를 통해 해결 되었다. 필자는 글씨를 입력하면 간혈적으로 글씨가 입력이 되지 않는 씹힘 문제였는데, 한글이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지 않는다면 시도해보기 바란다. 1. 맞춤법 검사 해제 맞춤법 검사를 비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환경 설정의 키보드를 실행한다. 이후 텍스트로 들어가서 맞춤범 자동 수정을 체크해제하기 바란다. 2. 한글 언어팩 제거후 다시 지정 만약 VSCode에서만 나타나는 문제라면 이 방법이 괜찮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설치된 한글 언어 팩을.. 2022. 8. 8. Docker - MAC M1 Error image's platform (linux/arm64/v8) does not match the detected host platform 해결 MAC M1으로 노트북을 변경하고 평시대로 Docker를 새로 빌드하여 플랫폼을 올렸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WARNING: The requested image's platform (linux/arm64/v8) does not match the detected host platform (linux/amd64) and no specific platform was requested standard_init_linux.go:228: exec user process caused: exec format error 오류 내용은 MAC M1은 linux/arm64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빌드시점에 --platform linux/arm64을 지정하여 빌드를 .. 2022. 8. 7. Azure 코드 배포 Bicap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azure-resource-manager/bicep/overview?tabs=bicep Bicep language for deploying Azure resources - Azure Resource Manager Describes the Bicep language for deploying infrastructure to Azure. It provides an improved authoring experience over using JSON to develop templates. docs.microsoft.com Azure 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de 기반 배포 도구로 복잡한 GUI없이 깔끔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 같다. 만약 Azure.. 2022. 8. 3. Zsh - History 자동 완성 구성하기 Zsh에서 자동 완성으로 Tab키 이외에 히스토리 기반으로 자동 완성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부분이 효율성이 좋은 이유는, 특정 명령을 기반으로 화살표 위/아래를 눌려 자동완성을 통해 기존 명령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필자 역시 이를 사용하기 전에는 history 명령을 이용해 기존 명령어를 확인하고 이를 다시 복사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기능을 알게 된 다음부터는 history 명령 사용 빈도가 완전이 줄어들고, 기존 명령을 찾는 수고를 덜 수 있었다. History 자동 완성 이란 전체가 아닌 현재 입력한 내용에서 매칭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만약 docker 명령을 실행했던 History가 있을 때, docker를 입력하고 화살표 위/아래를 누르면, docker 라.. 2022. 8. 1. Zsh - Mac tab 자동 완성 zsh-completions 설치하기 zsh 쉘은 맥을 사용할때 유용한 기능이 많아서 많은 유저들이 터미널 쉘로 사용하고 있다. 그중에서 Tab키를 통한 자동완성 기능은 한번 사용해보면 계속 사용하게되는 매력적인 플러그인이다. 그럼 이를 어떻게 Mac에서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하자. 먼저 만약 Zsh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먼저 vi ~/.zshrc 명령으로.zshrc를 편집기로 열어서 아래의 내용을 가장 아래 추가한다. autoload -Uz compinit compinit 이후 동작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source를 진행해보자. source ~/.zshrc 이제 Tab키를 눌려서 필요한 정보들이 추가되는지 확인한다. compinit 없을 경우 만약 Tab키를 눌려도 반응이 없다면, 현재 compinit가 없는 것이기 때.. 2022. 8. 1. 원신 3.0 - 도리 파티 성유물 조합 마지막업데이트 20220922 도리는 원신 3.0에 나오는 번개 원소로 힐이 주특기인 4성 캐릭터이다. 번개 힐러로 쿠키 시노부가 최근에 추가되었는데, 쿠키 시노부와 다른 콘셉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지만 굳이라는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 쿠키와 사유랑 경쟁할 것 같은데, 쿠키 시노부는 체력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는데 도리는 번개 원소를 부착하는 단점이 존재하여 과연 이를 장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바바라 물 원소 부착처럼 큰 단점이다) 원신에서 현재 버티기를 요구하는 비경/던전이 없기 때문에 힐러의 입지가 매우 작다. 그리고 기존에 좋은 힐러들이 많아서 거기를 뚫고 들어가기가 힘들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5성 치치도 꽝으로 취급) 그럼 도리의 스킬과 운영 방안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 2022. 7. 31.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1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