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dows63 Python - Unix/Windows(epoch) timestamp를 datetime 으로 형식 변환 정말 시간 관련해서는 자주 사용해서 기록한다. 정말 간단한 코드 이지만, 기억하기 위해서 정리해 본다. Unix Time은 기본적으로 숫자로 이루어진 값을 의미한다. 해당 값은 특정 기간부터 발생한 초(Second)를 의미하는데 문제는 Windows와 Unix의 계산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숫자로 되어 있는 값이 어느 시스템에서 가져온 값인지에 따라서 적용 방식을 달리 해야 한다. Unix Time January 1st, 1970 at 00:00:00 UTC 가 시작 시간이다. 길이는 10자리이다. 10자리 이상인 경우 소수점을 찍어서 값을 계산하도록 하자.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def convert_unix_time(unix_time): convert_time .. 2023. 3. 2. Windows -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일 트리 구조 보기 Windows - 명령 프롬프트에서 리눅스처럼 파일을 트리구조로 볼수 있는 유용한 tree라는 명령이 있다. 사용법도 단순한다. tree를 입력하면 현재 하위 경로를 표시해준다. 옵션은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옵션 설명 : 디스크를 포함 하는 드라이브를 지정 디렉터리를 지정 /f 각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이름을 표시 /a 그래픽 문자 대신 텍스트 문자를 사용하여 표시 /? 명령 프롬프트에 도움말을 표시 특정 드라이브나 경로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f 옵션을 통해 어떤 파일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2022. 10. 22. Windows - ASUS WiFi 간혈적 지연/끊김 해결 ASUS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간혈적으로 지연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Driver 문제인가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 끊에 문제의 원인을 확인하였는데, MyASUS 문제였다. WiFI 스마트커넥트를 비활성화하자 문제가 해결되었다. 여기까지 오는데 너무 고생을 해서 MyASUS 제거... 안녕... 2022. 10. 9. Windows11 - 베터리 수명 늘리기 Battery Saver Always On 베터리를 사용하는 제품들은 100% 충전을 해두는 것보다, 40%~60%를 충전하는 것이 베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전원을 연결해 놓는 경우 100%로 충전하기 때문에 추후 베터리 효율이 급속도로 안좋아 질 수 있다. 윈도우 11에서 기본적으로 베터리 세이버를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하면 보다 베터리를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윈도우 11의 경우 기존 버전에서 문제가 있었던 설정등을 최적화 해두었기 때문에 기본 값으로 사용하여도 효과가 좋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20%이하일 때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를 기본적으로 활성화 하는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Battery Saver Always On 윈도우에서 전원 옵션으로 바로가는 단축키 Windo.. 2022. 10. 9. Windows11 - Docker Desktop Hyper-v 없이 WSL2 사용 기존 방법들은 Hyper-V에서 활용하는 방법이였으나 여기에서는 Hyper-V 없이 WSL2를 사용해서 Docker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WSL2를 이용해서 Virtual Machine Platform 을 이용해야 한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Virtual Machine Platform 설치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2., WSL2 설치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3. WSL2 Engine 사.. 2022. 10. 9. Windows 11 - 네트워크 구성, 설정 초기화 윈도우 11을 사용하다가 네트워크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해 볼 만한 옵션으로 기존에 설정된 모든 정보를 초기화하는 옵션이다. 이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설정 메뉴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설정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에 들어가며 네트워크 초기화 메뉴를 확인 할 수 있다. 해당 메뉴에 들어가면, 모든 구성을 제거하고, 새로 설치한다고 하므로 문제가 분명하고, 필요한 WiFi 정보등은 따로 저장한 후 진행하도록 하자. 2022. 10. 6. Windows 11/10 - MediaTek WiFi 블루스크린, 간결적 끊기는 증상 mtkwl6ex.sys 최근에 블루스크린 문제가 자주 발생해서 메모리 덤프를 오랫만에 간단히 확인해보았다. 기본적은 오류 내용은 DPC_WATCHDOG_VIOLATION 오류로써, DPC(Deferred Procedure call)로 디스패치(Dispatch)와 관련이 있는데, 커널에서 작업을 요청하는 처리하던 중,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즉 드라이버의 입출력 처리 요청에 문제가 있다는 소리 DPC_WATCHDOG_VIOL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유발하는 드라이버를 찾아야 한다. 보통 메모리 덤프를 보면, 쉽게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Windbg 분석에서 지목된 녀석은 바로 mtkwl6ex.sys 라는 미디어텍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이다. 어쩐지 자꾸 WiFi가 먹통이 되거나, 행 걸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 2022. 10. 4. 메모리 덤프 생성과 분석 기초 윈도우에서 메모리 덤프 분석은 난이도가 높고 넓어서, 하지만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 역시 관리의 중요 이슈이기에, 여기서 다루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아마 문제 해결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커널 분석뿐만 아니라 시스템 영역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Windbg가 숙달되었을 때, 원활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정도로 장애시 커널 분석을 원활히 진행하기는 어렵지만, 블루스크린의 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이해하고, 메모리 덤프를 생성하는 것과 일반적인 분석 방법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분들이 더 큰 그림을 볼 수 있는 안목을 만들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고자 함이 목표임을 이야기하고 진행하도록 하겠다. BSOD (Blue Screen of Death).. 2022. 9. 13. Docker - failed to compute cache key: "/. " not found: not found 필자는 개발 머신으로 Windows와 Mac을 동시에 활용하다보니 종종 OS간 차이로 인한 문제점에 부디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는 어떻게 보면 심플한 문제로 파일의 경로 인식에 대한 OS 차이점에 대한 부분이다. failed to solve: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compute cache key: "/.requirements.dev.txt" not found: not found Mac이나 Linux 같은 경우 보통 현재 경로를 나타낼때 사용하는 키워드로 .(점)을 많이 이용한다. 특정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는 . ./ 등을 통해 현재 경로를 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윈도우는 현재 경로라는 정보를 넣으면 경로는 인식을 하지만 파일의 경우 실제 (.)점.. 2022. 9. 1.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