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11 Docker - Error saving credentials: error storing credentials Error saving credentials: error storing credentials - err: exit status 1, out: `Post "http://ipc/registry/credstore-updated": dial unix backend.sock: connect: connection refused` Docker 로그인시 발생하는 오류로 처음 보는 거라 찾아보다가 해결 방안을 정리해 본다. 로그인 관련 인증키를 저장하는 부분을 초기화 해서 다시 진행해보는 방식이다. rm /usr/local/bin/docker-credential-osxkeychain 이후 ~/.docker/config.json 를 열어서 아래 그림처럼 "credsStore": ""로 수정 이후 Docker를 재시작후 다.. 2022. 7. 29. MAC - 자신 IP 확인 Mac에서 IP를 확인할 때 내부 IP 혹은 외부 IP냐에 따라 확인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내부 IP는 ipconfig를 통해 가능하다. ipconfig getifaddr en0 ifconfig를 이용하면 inet 정보만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ifconfig | grep inet 만약 외부 IP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curl을 통해 ifconfig.me 을 이용하면 IP정보를 콘솔에 알맞게 보여준다. curl ifconfig.me 2022. 7. 28. AWS - Guardduty 멜웨어 탐지 차단 기능 AWS에 추가된 기능중 보안적으로 유용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GuardDuty Malware Protection 이 기능은 운용중인 EC2에서 스냅샷을 생성하여 디스크의 존재하는 멜웨어를 확인한다. 이후 확인된 멜워에가 있다면 알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알림 카테고리는 아래와 같다. Execution:EC2/MaliciousFile Execution:ECS/MaliciousFile Execution:Kubernetes/MaliciousFile Execution:Container/MaliciousFile Execution:EC2/SuspiciousFile Execution:ECS/SuspiciousFile Execution:Kubernetes/SuspiciousFile Execution:Containe.. 2022. 7. 27. Svelte - Snowpack dev Port 조정 devOptions 사용 개발서버의 포트를 변경하기 위해서 찾아보던중 Snowpack 옵션중 devOptions을 변경해야 하는줄 알았다. 그럼 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설정을 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지정된다. module.exports = { devOptions: { port: 8080, // 개발 서버를 실행할 포트 번호 fallback: 'index.html', // SPA인 경우 제공할 모든 사용자 경로 open: 'default', // 새 브라우저 탭에 개발 서버를 열기, “chrome”, “firefox”, “brave”등 설치 경로 지정 output: 'dashboard', // 콘솔의 출력 모드를 지정, "stream" | "dashbaord", 다중 실행시 stream으로 동일한 콘솔에 내용을 출력 host.. 2022. 7. 26. Svelte - Docker + Nginx 를 이용한 배포하기 Svelte 배포시 Docker를 활용한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Svelte는 Build를 구성하였을때 최적화하여 Output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여기에 웹서비스를 함께 구성하면 효과적이다. 이때 함께 사용할 만한 옵션으로 Nginx가 효율성이 높다. 그럼 먼저 테스트 Application을 템플릿을 통해 구성하도록 하자. (본 작업은 만약 구성한 Svelte 앱이 없는 경우 최초에 진행하는 작업이다. 별도의 개발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생략한다.) npx degit sveltejs/template svelte_test cd svelte_test Dockerfile 생성 Dockerfile 구성은 어렵지 않다. 아래와 같이 package.json와 package-lock.json 파일을 복사한다. 그리.. 2022. 7. 25. 원신 3.0 - 타이나리 파티 성유물 조합 아직 원신 3.0이 나오지 않은 시점에서 현재까지 오픈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정리해 본다. 3.0에 공개될 풀 원소 반응은 어느 정도 정보가 공개되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파티 및 성유물에 대한 부분도 예측해보도록 하겠다. 3.0 버전에서 확인해보면 타이나리는 원소 폭팔 + 강공격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딜러이다. 원신 3.0 - 풀원소 원소 반응 및 운용 정리 곧 3.0 출시와 함께 풀원소가 어떤 역활을 할 지 매우 궁금한 상황이다. 그리고 최근 미호요에서 공식 영상을 통해 살짝 공개된 정보를 통해 간단히 정리해 본다. 현재 풀원소는 총 3가지 원소 반 asecurity.dev 타이나리는 풀 원소로써 가장 먼저 공개되는 5성 캐릭터이다. 아직 특징이 다소 명확하지 않지만, 현재 공개된 원소 전투와 원소.. 2022. 7. 21. 금 사과 제도 - 원신 별자리 수수께끼 3 답 다른 원신 별자리 수수께끼 보다 난이도가 있었다고 개인적인 생각... 결과만 보면... 사람 모양처럼 그려주면 된다.... 알고나면 참 쉽다.. 옆에 힌트 그림 추가로 힌트 쪽으로 들어가면 수수께끼가 하나 더 있다. 기다리는 별 2022. 7. 21. Git - 커밋 내역 삭제하기 git reset 만약 실수로 중요한 비밀번호나 키 정보등 를 Git에 커밋했다면 어떻게 될까? 삭제하더라고 히스토리에는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커밋 자체를 삭제해야 한다. 개발을 하다보면, 잘못된 커밋을 통해 기존 커밋을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치가 가능하다. 먼저 Git에 있는 커밋 내역을 git log 명령을 통해 확인하자. git log 자신이 삭제해야 하는 커밋이 몇번째 위치하는지 순서를 확인한다. 가장 최신 부터 1이다. 확인하였다면 q 를 눌려서 히스토리 확인을 마치도록 한다. q 이후 git reset HEAD~숫자 를 통해서 삭제하도록 하자. 여기에서 숫자는 최신이 1이다. 만약 2번째까지 삭제해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이렇게 삭제한 내역을 반영하기 위해서 g.. 2022. 7. 15. Github - Copilot 강력한 Code Helper 나대신 코드 작성해주는 로봇이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 그 상상이 한걸음 앞으로 다가왔다. 바로 Github의 유료 서비스 Copilot이다. Copilot은 기존에 사용하는 IDE 도구에 플러그인 으로 연결하여 특정 코드를 작성하면, Github에서 학습되어 있는 우수한 코드를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이유는 Github에 무수히 많은 OpenSource 프로젝트, 공개된 Repo들이 있고, 이들의 전체 코드를 학습하여 비슷한 함수명일 때 추천해주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Copilot 내부에는 Google의 검색과 같이 코드 추천 퀄리티를 개선하는 기능이 내장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을 수록 보다 좋은 품질의 코드, 더 알맞은 코드를 추천해주게 된다. 이를 통해.. 2022. 7. 8. 이전 1 ··· 80 81 82 83 84 85 86 ··· 1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