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09

스타레일 - 로빈 인게임 유출 내용 정리 마지막 업데이트 240302 스타레일 2.0 업데이트를 통해서 메인 개척 임무를 진행하였다면 로빈을 모를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로빈은 곧 2.2에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합류할 예정인데, 최근 로빈 관련 유출내용이 있어 정리한다. 최근 중국 Tieba 포럼에서 공유된 Honkai: Star Rail 내용은 로빈이 궁극기를 사용하여 아군을 버프하고 전투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게임 내 영상을 공개되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디자인을 볼 수 있었는데, 그녀가 흰색 드레스와 보라색 신발을 착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빈이 지원 히로인임을 암시하고 그녀가 출혈 효과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 세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물리 속성을 가진 캐릭터일 것이다. 물리 기반 화합(풍요) 캐.. 2024. 3. 2.
Python - 특정 문자열(str) 포함 유무(contains) 확인 방법 다른 언어(C#, Java등)을 사용하다 Python으로 전환하면서 가장 헷갈렸던 부분이 문자열 검색 부분이다. 보통 C# 기준으로 str에 .contains를 통해 특정 문자열이 포함 하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데, Python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1. in, not in 조건 구분에 in 키워드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조건에 맞는 경우 True를 반환한다. str_text = 'abcdf' if 'a' in str_text: #True 반환 print('포함') else: #False 반환 print('미포함') not in은 반대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 True를 반환한다. str_text = 'abcdf' if 'a' not in str_text: #True 반환 p.. 2024. 3. 2.
Python - 도메인, 서브도메인, URL 구분 방법 tldextract Python을 이용해서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구분하는 방법은 Regex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com과 같은 2차 도메인과 .co.kr 3차 도메인의 차이점, 그리고 서브에 서브도메인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많은 조건이 필요해지게 된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인 tldextract가 있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보겠다. tldextract는 아래와 같이 co.kr과 같은 국가 2차 도메인 이외 dev와 같은 1차 도메인도 아래처럼 쉽게 구분해 낸다. import tldextract url = '01-sub.web.testsite.co.kr' ext = tldextract.extract(url) url = '01-sub.web.testsite.dev' ext = tldex.. 2024. 3. 2.
Python -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 그리고 global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 파이썬에서 변수는 크게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로 나뉜다. 지역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 가능한 변수를 의미한다. 함수 밖에서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def 지역변수(): a = '지역변수' print(a) 지역변수() print(a) # 에러 발생 전역 변수는 함수와 상관없이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를 의미한다. 함수 밖에서 선언하거나, 함수 안에서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면 전역 변수가 된다. a = '전역변수' def 지역변수(): print(a) 지역변수() print(a)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의 차이점 지역 변수 선언 위치: 함수 내부 사용 범위: 함수 내부 선언 방법: a = 1전역 변수 전역 변수 선언 위치: 함수 내부,함수 외부 사용 범위.. 2024. 3. 2.
Python - 파이썬 코드 실행 시간 측정 perf_counter, process_time 차이점 파이썬 코드 실행 시간 측정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특정 코드가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time 라이브러리의 perf_counter()와 process_time()이다. perf_counter, process_time 차이점 perf_counter()는 프로그램의 전체 실행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도 포함된다. 반면, process_time()은 프로그램이 실제 프로세싱(처리)된 시간만 측정한다. 아래 예제를 보자. import time def perf_proc(): time.sleep(1) for value in range(1, 5): pass start = time.perf_counter() perf_pro.. 2024. 3. 2.
SQLAlchemy로 MySQL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쿼리하기 SQLAlchemy는 Python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쿼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라이브러리이. MySQL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호환된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SQLAlchemy를 사용하여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려면 먼저 create_engine() 함수를 사용해. 이 함수의 인수에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가 포함된다. import sqlalchemy as db database_url = "mysql+pymysql://username:password@host:port/database" engine = db.create_engine(database_url) 위 예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사용한다. 사용자 이름: username 비밀번호: password .. 2024. 3. 2.
Svelte - TinyMCE 사용하기, 주요 옵션들 TinyMCE는 Svelte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Editor중 하나이다. 실제 필자가 Svelte에서 사용할 만한 Editor를 비교한 글을 작성한 적이 있는데, 그중 당연히 제일 좋았던 기억이 난다. 기본 사용 먼저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먼저 npm을 이용해서 개발 의존성 모드로 tinymce-svelte 를 설치한다. npm i -D tinymce-svelte 설치가 완료되면, App.svelte와 같이 tinymce-svelte를 사용하고자 하는 svelte 파일에 아래내용을 기입하면 기본적으로 동작할 준비가 완료된다. Hello Tiny 위 코드를 저장하고, 콘솔에 npm run dev를 실행해서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해보자. npm run dev 위.. 2024. 3. 2.
Pylint - docstring "Missing function or method docstring" 메시지 Pylint는 파이썬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 코드의 구문 오류, 스타일 오류, 잠재적인 버그 등을 검사한다. 이 중 "Missing function or method docstring" 메시지는 함수나 메서드에 docstring이 없음을 나타난다. docstring이란? docstring은 함수나 클래스, 모듈의 목적, 사용 방법, 반환값 등을 설명하는 주석이다. docstring을 작성하면 코드의 이해도를 높이고,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docstring의 구조 docstring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개요(summary) 함수나 메서드의 목적을 한 문장으로 요약 문서화(documentation 함수나 메서드의 사용 방법, 반환값, 입력값 등을 설명.. 2024. 3. 2.
중년 부부 간 돈 관리에 대한 고민, 어떻게 하면 좋을까? 결혼한 지 10년이 넘은 필자는 최근 아내에게 돈 관리를 맡기고 용돈을 받아오던 것을 그만두고 직접 관리해 보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아내의 반응은 의외였다. "알았어. 대신 다신 나한테 주지마."라고 말하며 입금되는 돈을 모두 차단해 버렸다. 필자가 돈 관리를 맡기고 싶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아내가 외부 활동을 하기 힘들어지면서 삶의 낙이 없어지는 것 같아서 아내에게 사회적 활동의 기회를 주기 위해서 아내가 목소리가 큰 집안이 분위기가 좋다고 생각해서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필자는 아내에게 무시당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필자가 좋아하는 소비를 할 수 없다고 자주 핀잔도 듣다보니, 노년이 걱정된다. 또 큰 것은 돈/경제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로, 아내가 큰 집을 원하는데, 필자는 재테크가 필요.. 2024.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