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자 기준으로 거희 500개가 넘는 페이지들이 색인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였다.

사이트를 변경한지 초반부터 계속 색인이 잘 되지 않은 상황으로 보여서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일 고민하다가, 3가지 방법을 찾았는데, 진행해볼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Sitemap 등록
현재 블로거(BlogSpot, Blogger)에서 등록할 수 있는 사이트맵은 총 3가지 이다.
즉 한가지가 아닌 여러개의 사이트맵을 등록해서 구글이 보다 적극적으로 색인을 할 수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150/feeds/posts/default?rss=alt/sitemap.xml
위 3가지 주소를 등록하여 보다 색인을 자주 만들수 있도록 해주자.


2. 설정의 검색 및 맞춤 크롤러 활성화
설정에 들어가면 검색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몇가지 옵션이 있는데 바로 메타 태그와 크롤러 설정이다.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 해놓는 것을 추천한다.

메타 태그
필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는 메타 태크는 검색 설명을 제공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검색 설명을 적지 않더라도, 첫번째 단락이 자동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활성화 하도록 하자.

로봇파일을 이용하면 보다 명확하게 색인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 내용은 티스토리의 robots.txt를 가져온 것으로 보통 search 부분에 대한 검색과 관리자 페이지는 제외하고 나머지에 대해서 색인하라는 의미이다.
User-agent: *Disallow: /searchAllow: /Sitemap: https://your-url/sitemap.xml

맞춤 로봇 태그
이부분은 세부적으로 진행하기에는 공부해야 할 것이 많다. 따라서 필자처럼 all로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홈페이지, 자료실, 글 3가지 이므로 3가지 모두 체크하도록 하자.

이렇게 사전 설정은 하였고,
색인이 되지 않는 페이지는 이제 수동으로 진행해주면 된다.
3. 색인 수동 진행
페이지 색인이 되지 않은 경우 색인되지 않은 페이지를 돋보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직접 색인 요청이 가능하다.


이상 구글 웹마스터 색인 생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글쓰는 것 만큼 검색에 노출 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웹 마스터 도구와도 많이 친숙해지기 바란다.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팁 - Godaddy와 Blogger(블로그스팟) 연결하기 (0) | 2024.03.10 |
---|---|
블로그팁 - 블로그스팟 ads.txt 설정하기 (0) | 2024.03.10 |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나오는 Ad_impression 및 다른 속성 정리 (0) | 2024.03.01 |
Mac - 압축 파일에서 __MACOSX 및 .DS_Store 파일 제거하기 (0) | 2024.03.01 |
Mac - .DS_Store 파일 생성하지 않기 (0) | 2024.03.01 |